결론부터 말하자면,
break문은 break; 를 적어준 곳에서 해당 조건문 블록과 그 밖의 반복문 자체를 탈출한다.
continue문은 해당 조건문 블록을 탈출하여 아래 명령문은 실행하지 않고, 다음 반복문 실행절차를 수행한다.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반복문을 탈출하는 break 문과 조건문을 탈출하는 continue 문에 대해 알아보자.
break 와 continue 를 이용하면 개발자가 본인 임의로 반복문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break문
switch~ case 문에서 break문은 case의 실행문 수행 후 바로 해당 switch 블록을 빠져나가는 역할을 했다.
반복문에서도 마찬가지로 해당 블록을 빠져나하는 역할을 하며, break가 속한 반복문을 탈출한다.
다음 예시를 보자.

반복문은 ( ) 안에 작성해 준 조건식에 의해 탈출했었다.
지금까지는 조건식이 false 가 되는 순간에 반복문의 반복이 끝나는 것이었다.
그런데 위의 코드는 ( ) 안의 조건식을 그냥 true 로 지정해주었다.
조건식이 false 가 되는 순간이 아예 없는것이다.
위의 while 문은 "true" 라는 문자열을 반복하여 무한으로 출력할 것이다.
이것이 무한 반복문이다.
다음은 break문으로 반복문을 제어하는 예시이다.

위의 코드는 int 타입의 num 변수가 while 문 안에서 무한으로 +1 씩 증가하는 코드이다.
그런데 조건문을 통해 num==30 이 되는 순간, break문을 만나 반복문을 탈출하도록 했다.
while문 안에서 num을 출력해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while문 내부에서 num이 1 씩 증가하면서 출력문을 수행하다가 num==30 이 되는 순간 바로 while문을 탈출한 모습이다.
continue문
break문은 조건문도 빠져나가면서 반복문 자체도 탈출하고 끝이나지만
continue문은 해당 '조건문만' 실행하지 않고, 반복문은 이어서 실행하는 제어문이다.
다음 예시를 보자.

i 가 0부터 29 까지 반복하며 출력되는 for 문이다.
중간 조건문 if 를 통해 i%3==0 에서 continue 문을 작성해 더이상 아래의 명령문들을 실행하지 않고 반복문 위로 올라가 다음 반복문의 실행 절차를 수행하게 했다.
즉, 3의 배수는 건너뛴다.
위와같이 break문과 continue문을 반복문의 조건식에서 적절히 활용한다면, 개발자가 원하는 실행흐름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Java > Stand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fferedReader의 readLine() 은 왜 throws Exception 해주어야할까? (2) | 2020.06.19 |
---|---|
Scanner.nextInt() / nextLine() 오류 : 두가지 해결방법 (0) | 2020.06.19 |
반복문 : while 과 do~while (0) | 2020.06.18 |
반복문 완전 기초 이해하기 : for문 (0) | 2020.06.18 |
2진수,8진수,16진수의 모든것 (17) | 2020.06.16 |
결론부터 말하자면,
break문은 break; 를 적어준 곳에서 해당 조건문 블록과 그 밖의 반복문 자체를 탈출한다.
continue문은 해당 조건문 블록을 탈출하여 아래 명령문은 실행하지 않고, 다음 반복문 실행절차를 수행한다.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반복문을 탈출하는 break 문과 조건문을 탈출하는 continue 문에 대해 알아보자.
break 와 continue 를 이용하면 개발자가 본인 임의로 반복문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break문
switch~ case 문에서 break문은 case의 실행문 수행 후 바로 해당 switch 블록을 빠져나가는 역할을 했다.
반복문에서도 마찬가지로 해당 블록을 빠져나하는 역할을 하며, break가 속한 반복문을 탈출한다.
다음 예시를 보자.

반복문은 ( ) 안에 작성해 준 조건식에 의해 탈출했었다.
지금까지는 조건식이 false 가 되는 순간에 반복문의 반복이 끝나는 것이었다.
그런데 위의 코드는 ( ) 안의 조건식을 그냥 true 로 지정해주었다.
조건식이 false 가 되는 순간이 아예 없는것이다.
위의 while 문은 "true" 라는 문자열을 반복하여 무한으로 출력할 것이다.
이것이 무한 반복문이다.
다음은 break문으로 반복문을 제어하는 예시이다.

위의 코드는 int 타입의 num 변수가 while 문 안에서 무한으로 +1 씩 증가하는 코드이다.
그런데 조건문을 통해 num==30 이 되는 순간, break문을 만나 반복문을 탈출하도록 했다.
while문 안에서 num을 출력해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while문 내부에서 num이 1 씩 증가하면서 출력문을 수행하다가 num==30 이 되는 순간 바로 while문을 탈출한 모습이다.
continue문
break문은 조건문도 빠져나가면서 반복문 자체도 탈출하고 끝이나지만
continue문은 해당 '조건문만' 실행하지 않고, 반복문은 이어서 실행하는 제어문이다.
다음 예시를 보자.

i 가 0부터 29 까지 반복하며 출력되는 for 문이다.
중간 조건문 if 를 통해 i%3==0 에서 continue 문을 작성해 더이상 아래의 명령문들을 실행하지 않고 반복문 위로 올라가 다음 반복문의 실행 절차를 수행하게 했다.
즉, 3의 배수는 건너뛴다.
위와같이 break문과 continue문을 반복문의 조건식에서 적절히 활용한다면, 개발자가 원하는 실행흐름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Java > Stand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fferedReader의 readLine() 은 왜 throws Exception 해주어야할까? (2) | 2020.06.19 |
---|---|
Scanner.nextInt() / nextLine() 오류 : 두가지 해결방법 (0) | 2020.06.19 |
반복문 : while 과 do~while (0) | 2020.06.18 |
반복문 완전 기초 이해하기 : for문 (0) | 2020.06.18 |
2진수,8진수,16진수의 모든것 (17) | 2020.06.16 |